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컴퓨터 성능 측정

vmgdrake 2023. 6. 24. 02:34

컴퓨터 시스템의 성능은 주로 응답시간(또는 실행시간)과 처리량(throughput)으로 측정됩니다.

처리량 (Throughput): 처리량은 일정한 시간 동안 시스템이 처리하는 작업의 양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초당 처리할 수 있는 트랜잭션 수, 데이터 전송 속도 등이 처리량의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처리량이 높을수록 시스템은 더 많은 작업을 처리할 수 있으며, 성능이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처리량은 주로 대규모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웹 서버, 네트워크 스위치 등에서 중요한 성능 측정 지표로 사용됩니다.

응답시간 (Response Time): 응답시간은 작업이 시작되었을 때부터 완료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사용자의 관점에서는 응답시간이 짧을수록 빠른 시스템으로 인식됩니다. 응답시간은 주로 대화형 시스템이나 웹 애플리케이션 등에서 중요한 성능 지표로 사용됩니다.

성능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응답시간 또는 실행시간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실행시간과 성능은 반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즉, 실행시간이 짧을수록 성능이 좋아집니다.

컴퓨터의 실행시간은 다음과 같은 요소로 구성됩니다:

클럭 주기 (Clock Cycle): 컴퓨터의 클럭 속도는 클럭 주기의 역수로 정의됩니다. 클럭 주기는 CPU가 한 번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CPU 클럭 사이클 수: 프로그램이 CPU를 사용하는 동안 걸리는 클럭 사이클의 수입니다.
클럭 사이클 시간: CPU가 한 번 클럭 사이클을 완료하는 데 걸리는 시간입니다.
따라서, CPU 사용 시간은 CPU 클럭 사이클 수와 클럭 사이클 시간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실행시간을 최소화하려면 CPU 클럭 사이클 수를 줄이거나 클럭 사이클 시간을 단축시켜야 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